♧ 280번째 이야기
글로벌 원유시장, 무역분쟁 소용돌이 속 미래는?
1. 서론: 무역분쟁이 불러온 에너지 시장의 격변
2025년 4월 현재, 글로벌 원유 시장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OPEC+의 복합적 증산 전략, 미국 셰일기업들의 생산 조정 가능성 등 다양한 변수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유가는 1분기 WTI 기준 평균 $72 수준에서 최근 $60 초반대로 급락하며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나증권 Global Asset Research 팀이 제공한 심층 보고서를 바탕으로, 글로벌 원유 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 글로벌 원유 시장 현황
2.1 국제유가 급락 배경: 무역전쟁의 충격
WTI 가격: 4월 초 이후 급락, $60 초반대 유지
IEA, OPEC, EIA 등 주요 에너지 기관: 글로벌 원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
WTO 분석: 미국 관세 영향으로 2025년 글로벌 상품 교역량이 전년 대비 -0.2% 감소 예상. 리스크 확대로 최대 -1.5% 감소 가능성도 제시
요약:
글로벌 교역량 감소 → 원유 수요 하락 → 유가 하방 압력 심화
3. 공급 측 요인 분석
3.1 OPEC+의 소심한 증산
2025년 4월부터 증산 개시, 그러나 급락하는 유가에 따라 증산 속도 조절 중
일부 국가(이라크, UAE 등)는 쿼터 초과 생산분 보상안을 마련
미국-이란 핵협상 진행 중, 그러나 이란산 원유 제재는 여전히 강화되는 추세
핵심 포인트:
OPEC+의 추가 공급량은 당초 예상보다 제한적일 수 있음
3.2 미국 셰일 오일: 생산 조정 가능성
기존 유정 손익분기점(BEP): 약 $41
신규 유정 BEP: 약 $65
현재 유가($60 초반) 기준으로 신규 시추는 경제성이 떨어져
추가 생산 확대는 어려울 전망
또한,
미국 상업용 원유 재고는 증가세
휘발유 재고도 감소폭이 예년보다 미미
정리:
셰일 기업들도 점진적인 생산 조정을 통해 시장에 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4. 향후 국제유가 전망
미국 원유 생산량 점진적 조정 + OPEC+ 신중한 증산
국제유가는 빠른 급락보다 완만한 하락세를 이어갈 가능성
하나증권 예상 밴드:
WTI $55 ~ $70 구간 내에서 등락할 전망
5. 주요 경제 이벤트 및 리스크 체크 포인트
※ 중요 지표: 한국 1분기 GDP 성장률(4/24) - 전년 대비 0.2% 성장 예상, 한국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 주목.
6. 결론: "신중한 대응이 필요한 시기"
현재 글로벌 원유 시장은
수요 둔화
공급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자와 기업 모두, 급격한 움직임보다는
시장 흐름을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히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7. 출처 및 참고자료
하나증권 Global Asset Research, 2025.04.18.
IEA, EIA, OPEC, WTO 공식 발표자료
Bloomberg, Thomson Reuters 데이터베이스
[마무리]
이 글에서는 하나증권 자료를 바탕으로 글로벌 원유 시장의 주요 이슈를 풀어보았습니다.
향후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한 경우, '국가별 원유 수출입 데이터'나 '셰일기업별 실적'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시장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SEO 키워드 참고:
국제유가 전망 2025, 원유시장 전망, 무역전쟁 유가 영향, 글로벌 경제전망, OPEC+ 증산 전략, 미국 셰일오일 시장, 하나증권 리포트 요약



'Trend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sue)한국경제 마이너스 성장, 위기의 현재 상황 어떻게 돌파하나? (2) | 2025.04.28 |
---|---|
(Macro)한국 GDP 1/4분기 녹록치 않을 듯, 상저하고 (3) | 2025.04.26 |
(금융)주요 정책 및 금융동향 (기관보도자료 요약) (5) | 2025.04.16 |
(매크로) 경제 시나리오 수정 불가피 "트럼프의 상호관세,경제전망 수정필요" (2) | 2025.04.07 |
(글로벌) 미국 실물지표 짚어보기 "고용지표 등과 주요일정" (1)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