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Culture Calumn

(지명의 유래)서울 종로구 동명 유래

장고747 2025. 2. 24. 21:28
반응형

종로구(鐘路區)의 유래


종로구(鐘路區)의 이름은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 도로였던 ‘종로(鐘路)’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종로(鐘路)라는 명칭은 **보신각(普信閣)**의 종(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보신각은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을 수도로 정한 후 1396년(태조 5년)에 설치한 종각으로,
매일 새벽 4시(입경)와 밤 10시(파루)에 종을 쳐서 도성의 문을 여닫는 신호를 주었습니다.
이 도로는 조선 시대 상업과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현재도 서울의 대표적인 도로 중 하나입니다.
종로구는 이러한 종로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서울의 역사·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종로구에 속한 동(洞)들의 유래

현재 종로구에는 총 17개 법정동이 있으며, 각각의 명칭은 조선 시대의 역사적 배경이나 지리적 특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 청운동(靑雲洞)

‘청운(靑雲)’은 푸른 구름을 뜻하며, 출세를 의미하는 ‘청운지지(靑雲之志, 높은 뜻을 품다)’에서 유래함.

선비들이 많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분위기가 강했던 곳.


2. 신교동(新橋洞)

조선 시대에 새로운 다리(新橋)가 건설된 곳에서 유래함.

새롭게 개설된 교량과 관련하여 명칭이 붙여짐.


3. 효자동(孝子洞)

조선 시대 세종대왕의 장남 문종의 효심이 깊어 ‘효자’와 관련된 이름이 붙음.

또한, 조선 시대 효자들이 많았던 지역으로 알려짐.


4. 체부동(體府洞)

조선 시대 **형조(刑曹)와 의금부(義禁府)**가 위치했던 지역에서 유래됨.

형벌과 관련된 기관들이 있어 법 집행과 관련이 깊었던 곳.


5. 누상동(樓上洞) & 누하동(樓下洞)

광통교(廣通橋) 근처에 있던 누각(樓閣)에서 유래됨.

누각 위쪽을 ‘누상동(樓上洞)’, 아래쪽을 ‘누하동(樓下洞)’이라 불렀음.


6. 옥인동(玉仁洞)

조선 시대 국왕이 사용하는 옥을 다듬는 ‘옥인방(玉人房)’이라는 관청이 있던 곳에서 유래됨.


7. 통인동(通仁洞)

조선 후기 행정구역인 ‘통인방(通仁坊)’에서 유래됨.

상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재도 통인시장으로 유명함.


8. 경운동(慶雲洞)

‘경운(慶雲)’은 길조(吉兆)로서 좋은 일이 있을 때 하늘에 나타나는 구름을 의미함.

대한제국 시기 고종 황제가 머물던 **경운궁(현 덕수궁)**에서 유래함.


9. 관철동(貫鐵洞)

조선 시대에 무기와 관련된 관청이 있던 지역에서 유래됨.

‘철(鐵)’은 쇠를 의미하며, 무기 제작과 관련된 업무가 이루어졌던 곳.


10. 와룡동(臥龍洞)

‘와룡(臥龍)’은 ‘누워 있는 용’이라는 뜻으로, 인왕산과 낙산이 용이 엎드린 형상과 닮아 붙여짐.


11. 창신동(昌信洞)

대한제국 시기 **창신궁(昌信宮, 왕족의 거처)**이 있던 곳에서 유래됨.


12. 숭인동(崇仁洞)

‘숭인(崇仁)’은 ‘어진 마음을 숭상한다’는 뜻으로, 조선 시대부터 미덕을 강조하던 지역적 특징을 반영함.


13. 가회동(嘉會洞)

‘가회(嘉會)’는 ‘좋은 모임’이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양반들이 모여 살던 마을에서 유래됨.

현재도 한옥마을이 잘 보존된 지역임.


14. 계동(桂洞)

조선 시대에 세운 **계동궁(桂洞宮)**이라는 별궁에서 유래됨.

계수나무(桂樹)와 관련이 있으며, 학문과 관련된 지역.


15. 원서동(苑西洞)

조선 시대 왕실의 후원이 있던 곳에서 유래됨.

‘원서(苑西)’는 ‘궁궐의 서쪽 정원’이라는 뜻으로, 창덕궁 후원의 서쪽 지역을 의미함.

16. 재동(齋洞)

조선 시대 **성균관(成均館)**에서 공부하던 유생들이 기거하던 ‘재(齋, 기숙사)’에서 유래됨.

성균관 유생들이 학문을 연마했던 지역.

17. 명륜동(明倫洞)

‘명륜(明倫)’은 유교의 덕목을 의미하며, 성균관이 위치한 지역에서 유래됨.

조선 시대 학문과 관련된 중심 지역.

결론

종로구는 서울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중심 지역으로,
각 동(洞)의 이름은 조선 시대의 궁궐, 행정구역, 학문, 지리적 특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한옥과 전통 시장, 궁궐 등이 남아 있어 한국의 역사를 대표하는 지역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