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번째 이야기

트럼프의 해임 위협과 증시 급락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의사 결정에 영향력을 미치려는 시도를 반복하고 있다.
- 이로 인해 미국 증시가 급락하였으며, 이는 금융시장의 독립성 침해에 대한 불안감을 초래하고 있다.
- 연준의 독립성이 침해될 경우, 침체, 인플레이션, 국채 시장 혼란 등 위기 발생 시 이를 수습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증시 하락 수치
- 21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971.82포인트(-2.48%) 하락하여 3만8170.41에 거래를 마쳤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124.50포인트(-2.36%) 내린 5158.20에, 나스닥종합지수는 415.55포인트(-2.55%) 떨어진 1만5870.90에 장을 마감하였다.
트럼프의 금리 인하 압박
-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에서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은 SNS 트루스소셜에 파월 의장을 겨냥하여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이자, 중대 실패자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
-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트럼프 팀이 파월 의장 해고 여부를 실제로 검토하고 있다고 시인하였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하여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이 실제로 논의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금융 시장의 반응
- 마이클 브라운 페퍼스톤의 선임 리서치 전략가는 “파월 의장이 해임된다면 초기 반응은 금융 시장의 엄청난 변동성과 함께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극적인 미국 자산 매각 행진일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 이는 연준의 독립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달러화 약세와 미국 패권에서의 이탈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준의 독립성 위협
- 연준의 독립성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은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다.
교황 선종 소식
-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하면서 바티칸은 조만간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교황의 서거는 교황청의 공식 발표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교황의 직접적인 사인은 뇌졸중과 심부전으로 알려졌다.
'Money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관세 낙관론대두되며 미국증시 큰폭 반등 (2) | 2025.04.23 |
---|---|
(오늘의 증시) 불확실성 및 변수 극대화로 투자심리 위축,"거래량 급감속 지수 혼조마감" (6) | 2025.04.22 |
(오늘의 증시) 개인,기관 매수세 힘입어 코스피지수 2,480선 회복,상승강도는 약한모습 (5) | 2025.04.21 |
(이슈) 공매도 재개후 유의미한 시그널 분석 (1) | 2025.04.21 |
(오늘의 증시) 관세 타협 기대감속에 국내증시 소폭 매수로 마감 (2)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