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Trend Story

(투자) 금값,상승 계속되나? "금 강세요인 점검 및 향후 전망"

장고747 2025. 3. 25. 15:47
반응형

♧ 202번째 이야기

다음은 2025년 3월 25일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간한 『금, 상승 흐름 지속될까?』 보고서를 원문 기반으로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금 가격 상승, 지속 가능할까? (2025년 3월 기준)


1. 요약 Summary

금 가격이 온스당 $3,000 돌파: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 리스크로 인해 금이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며 상승.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중국, 폴란드 중심으로 금을 꾸준히 매수하며 가격 상승 견인.

조정 가능성 존재: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단기 조정은 불가피하나, 중장기적으로는 탈세계화, 블록화 기조 속 금 수요 유지.


2. 금 가격 강세 요인 분석

2-1. 지정학 리스크와 정책 불확실성

2025년 초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직후 관세 부과 확대로 금융시장 불확실성 급증.

미 연준은 불확실성을 이유로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

이에 따라 리스크 회피 심리 강화 → 금 투자 선호 증가.

2-2.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2022~2024년 기준, 중앙은행 및 기타 기관의 금 수요 비중은 전체의 20% 이상.

중국 인민은행: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전략적 금 보유 확대.

폴란드 중앙은행: “경제 재앙으로부터 보호”라는 명분 아래 금 비중 확대.

기타 국가들(체코, 헝가리 등)도 유사한 금 매입 움직임.

2-3. 금융시장 환경 변화

미국 채권금리 하락: 10년물 금리가 4.7%에서 4.3% 수준으로 하락.

금리 인하 기조 유지: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금에 우호적 환경 제공.

위험자산 회피 심리 증가: 관세 리스크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지속.

3. 금 가격의 향후 전망

3-1. 중앙은행 수요 지속 예상

금리 및 외환보유 정책의 다변화 추세 속, 금 보유 비중 확대 지속.

특히 **중국의 외환보유고 내 금 비중은 5.5%**로, 추가 매입 여력 충분.

3-2. 정책 불확실성 지속

트럼프 1기 시절과 유사한 정책 노선: 미국 중심주의 강화 → 글로벌 무역 긴장 재현 가능성.

정책이 협상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 존재 → 시장의 정책 민감도는 다소 둔화.

3-3. 금 가격의 투자 매력

금은 명목/실질 가격 모두 역사적 고점 돌파.

그러나 ETF 등 투자 상품의 금 보유량은 2020년보다 낮음:

실물 금 수요에 비해 투기적 수요는 낮음 → 금 수요가 가격 변화에 비탄력적.

4. 주요 차트 인사이트 요약


5. 종합 결론 및 투자 인사이트

단기 조정 가능성은 열려 있음: 고점 부담, 연준의 신중한 금리 정책, 정책 민감도 완화.

그러나 중장기적 금 강세 여력 존재:

지정학 불확실성 지속 (러-우 전쟁, 미-중 긴장 등)

중앙은행의 매입 지속

실물 금 수요 중심의 가격 결정 구조

→ 따라서 금은 여전히 유효한 중장기 포트폴리오 자산으로 판단됨.

원문 출처:
심수빈 애널리스트,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KIWOOM DAILY ISSUE」, 2025년 3월 25일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