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번째 이야기
다음은 2025년 3월 25일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간한 『금, 상승 흐름 지속될까?』 보고서를 원문 기반으로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금 가격 상승, 지속 가능할까? (2025년 3월 기준)

1. 요약 Summary
금 가격이 온스당 $3,000 돌파: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 불확실성과 지정학 리스크로 인해 금이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며 상승.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중국, 폴란드 중심으로 금을 꾸준히 매수하며 가격 상승 견인.
조정 가능성 존재: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단기 조정은 불가피하나, 중장기적으로는 탈세계화, 블록화 기조 속 금 수요 유지.


2. 금 가격 강세 요인 분석
2-1. 지정학 리스크와 정책 불확실성
2025년 초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직후 관세 부과 확대로 금융시장 불확실성 급증.
미 연준은 불확실성을 이유로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
이에 따라 리스크 회피 심리 강화 → 금 투자 선호 증가.
2-2.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2022~2024년 기준, 중앙은행 및 기타 기관의 금 수요 비중은 전체의 20% 이상.
중국 인민은행: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전략적 금 보유 확대.
폴란드 중앙은행: “경제 재앙으로부터 보호”라는 명분 아래 금 비중 확대.
기타 국가들(체코, 헝가리 등)도 유사한 금 매입 움직임.
2-3. 금융시장 환경 변화
미국 채권금리 하락: 10년물 금리가 4.7%에서 4.3% 수준으로 하락.
금리 인하 기조 유지: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금에 우호적 환경 제공.
위험자산 회피 심리 증가: 관세 리스크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지속.
3. 금 가격의 향후 전망
3-1. 중앙은행 수요 지속 예상
금리 및 외환보유 정책의 다변화 추세 속, 금 보유 비중 확대 지속.
특히 **중국의 외환보유고 내 금 비중은 5.5%**로, 추가 매입 여력 충분.
3-2. 정책 불확실성 지속
트럼프 1기 시절과 유사한 정책 노선: 미국 중심주의 강화 → 글로벌 무역 긴장 재현 가능성.
정책이 협상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 존재 → 시장의 정책 민감도는 다소 둔화.
3-3. 금 가격의 투자 매력
금은 명목/실질 가격 모두 역사적 고점 돌파.
그러나 ETF 등 투자 상품의 금 보유량은 2020년보다 낮음:
실물 금 수요에 비해 투기적 수요는 낮음 → 금 수요가 가격 변화에 비탄력적.
4. 주요 차트 인사이트 요약



5. 종합 결론 및 투자 인사이트
단기 조정 가능성은 열려 있음: 고점 부담, 연준의 신중한 금리 정책, 정책 민감도 완화.
그러나 중장기적 금 강세 여력 존재:
지정학 불확실성 지속 (러-우 전쟁, 미-중 긴장 등)
중앙은행의 매입 지속
실물 금 수요 중심의 가격 결정 구조
→ 따라서 금은 여전히 유효한 중장기 포트폴리오 자산으로 판단됨.
원문 출처:
심수빈 애널리스트,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KIWOOM DAILY ISSUE」, 2025년 3월 25일자.
'Trend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세계 경기 위축 부담?" (6) | 2025.03.27 |
---|---|
(Macro) 4월2일! 트럼프, 미국 해방의 날? "관세 불확실성 해소 될까?" (3) | 2025.03.27 |
(Tech)XR시대의 본격도래 임박? "가상과 현실의 융합,다양한산업 활용" (10) | 2025.03.25 |
(조직) Quiet Quitting 이란? "받은만큼 일하겠다는 경향 MZ세대" (8) | 2025.03.24 |
(요즘) 40,50대 "짠테크"(?)열풍, 합리적 경제의식vs과도하면 스트레스. (6)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