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Money Market

(미국증시) 트럼프의 입은 마술램프? "관세유예 조치로 기술주 중심폭등"

장고747 2025. 4. 10. 06:54
반응형

♧261번째 이야기

미국 증시 급등 배경
- 투자자 반응: 증시 투자자들은 상호관세가 유예된 점에 대해 환호하고 있다.
- 무역전쟁 우려: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보다는 상호관세 협상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도감이 형성되고 있다.
- 위험선호 심리: 이러한 안도감은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 상황 요약: 전반적으로, 투자자들은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향후 경제 전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발표
- 관세 유예 발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이 기간 동안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다.
- 증시 반응: 이 발표로 인해 미국 뉴욕증시는 폭등세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하였다.
- 상세 지수 변화: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962.86포인트(7.87%) 상승하였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74.13포인트(9.52%) 상승하였다.
  - 나스닥종합지수는 1857.06포인트(12.16%) 상승하였다.
- 기술주 중심의 상승: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주요 지수 및 종목 상승
- 지수 상승 현황: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40,608.45로 마감하였다.
  - S&P500지수는 5,456.90으로 마감하였다.
  - 나스닥종합지수는 17,124.97로 마감하였다.
- 반도체 지수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4,230.45로, 18.73% 상승하였다.
- 주요 종목 상승률:
  - 마이크로소프트: 10.1%
  - 애플: 15.3%
  - 엔비디아: 18.7%
  - 아마존닷컴: 11.9%
  - 테슬라: 22.6%
- 전반적인 시장 강세: 모든 주요 종목이 급등하며,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채금리 상승과 시장 반응
- 국채금리 변화: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하고 있으며,
  - 10년물은 **4.306%**로,
  - 2년물은 **3.875%**로 상승하였다.
- 시장 반응: 이러한 금리 상승은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 장중 지수 변화: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장중 37,718.03으로 반등하였다.
  - S&P500지수는 5,008.32로 상승하였다.
  - 나스닥종합지수는 15,483.36으로 상승하였다.
-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투자자들은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의 시장 반응 분석
- 관세 유예 발표: 트럼프는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하였다.
- 기본 관세 유지: 기본 관세 **10%**는 유지되며, 이는 국가별 적정 관세를 협상하기 위한 조치이다.
- 중국산 수입품 관세: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125%**로 관세를 인상하였다.
- 시장 반응: 트럼프의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그는 시장 반응을 무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무역전쟁과 글로벌 경제 우려
- 중국의 재보복 가능성: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인해 재보복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두 경제 대국 간의 무역전쟁이 격화될 경우,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 투자자 반응: 투자자들은 상호관세 유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 전망: 무역전쟁의 격화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술주 및 대형 기업 상승
- 업종별 상승률:
  - 기술 업종은 14.15% 상승하며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였다.
  - 필수소비재는 11.36%, 통신서비스는 **10%**에 육박하였다.
- 대형 기술기업 상승:
  - 애플은 15.33% 상승하며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탈환하였다.
  - 마이크로소프트는 10.13%, 엔비디아는 18.72% 상승하였다.
- AI 및 반도체 기업: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9% 가까이 폭등하였다.
- 전반적인 시장 강세: 모든 업종이 강세를 보이며, 특히 기술주가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채권시장 반응 및 입찰 결과
- 국채 입찰 결과: 미국 10년물 국채의 발행 수익률은 **4.435%**로 결정되었다.
- 수요 확인: 입찰 결과에서 상당한 수요가 확인되며 채권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간접 낙찰률: 해외투자 수요를 나타내는 간접 낙찰률은 **87.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 재무부 장관 평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입찰 결과에 대해 "꽤 괜찮았다"고 평가하였다.

연준의 통화정책 논의
- 관세 정책 논의: 연준의 지난달 통화정책회의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논의가 폭넓게 이뤄졌다.
- 성장 및 고용 전망: 일부 참가자는 성장 및 고용 전망이 나빠지면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였다.
- 금리 인하 기준: 경기침체와 실업률 증가 가능성에 따라 금리 인하의 기준이 더 높아졌다.
- 연준의 대응: 연준은 트럼프의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 불확실성과 전망
- 단기 반등 가능성: 이번 관세 유예로 인해 단기 반등은 가능하나, 바닥을 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 시장 불확실성: 여전히 시장에는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다.
- 투자 전략: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략이 요구된다.
- 금리 동결 확률: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0.7%**로 증가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