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Money Market

(미국증시) 전형적약세장,전강후약 "트럼프 추가관세 강행의지,3대지수 하락지속"

장고747 2025. 4. 9. 06:21
반응형

♧ 259번째 이야기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발표
-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일제히 급락 마감했다.
- 백악관이 중국에 대한 104%의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한 것이 관세 부과의 배경이 되었다.
- 이로 인해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매도 물량이 쏟아졌다.
- 시장은 급락과 급등을 반복하는 극심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이어갔다.

관세 부과의 배경
- 백악관은 중국에 대한 보복관세로 총 10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 이 발표는 미·중 무역전쟁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 관세 협상의 타결과 결렬 가능성에 따라 시장은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주식 시장의 반응
-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20.01포인트(0.84%) 하락한 3만7645.59로 장을 마감했다.
- S&P500지수는 79.48포인트(1.57%) 내린 4982.77에, 나스닥지수는 335.35포인트(2.15%) 하락한 1만5267.91로 거래를 마쳤다.
- 주요 지수는 오전에 4% 안팎으로 상승했으나,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입장이 재확인되면서 급락했다.
-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추가 관세 시행이 9일 오전 0시 1분에 발효된다고 밝혔다.

관세 협상 기대감과 현실
- 시장은 관세 협상 기대감에 일제히 반등세를 보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다.
-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통화에서 "상황이 좋아 보인다"고 언급했다.
- 양측은 관세, 조선, 미국산 에너지 구입, 방위비 분담금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 그러나 104%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발표로 인해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었다.

중국의 반응과 긴장감 고조
- 중국은 미국의 50% 추가 관세 위협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혀, 미·중 간의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 관세 전쟁의 상황은 양국 간의 경제적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중국의 보복 조치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강력한 반발로 해석된다.
- 이러한 상황은 글로벌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전문가의 우려
- 월가에서는 미국의 극단적인 관세 정책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스콧 래드너 CIO는 "하락의 근본적인 이유는 정책 불확실성"이라고 진단했다.
- 로버트 루기렐로 CIO는 "투자자들은 무역 정책이 더 안정되길 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 이러한 우려는 증시의 추가 조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주요 기업의 주가 하락
- 애플은 중국에서 가장 많은 아이폰을 생산하고 있어 대중 관세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 애플의 주가는 4.68% 급락했으며, 지난 4거래일 동안 주가가 22% 하락했다.
- 테슬라는 4.9% 하락했고, 엔비디아와 메타는 각각 1.16%, 1.12% 하락했다.
- 이러한 주가 하락은 관세 정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국채 금리와 변동성 지수
- 국채 금리는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2bp 오른 4.28%를 기록했다.
- 변동성 지수(VIX)는 전날보다 16.99% 급등한 54.96을 가리키고 있다.
- 이러한 지표들은 시장 불안정성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관세 정책의 글로벌 영향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은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관세 부과는 국제 무역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각국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상황은 무역 전쟁의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장기적으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