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Trend Story

(Trend) 버티컬커머스플랫폼이란? "팽창국면 이후 소멸위기직면"

장고747 2025. 3. 27. 21:29
반응형

♧ 212번째 이야기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VCP: Vertical Commerce Platform)



SEO 키워드: 버티컬커머스, 버티컬커머스플랫폼, D2C브랜드, 이커머스 전략, 시장세분화

버티컬 플랫폼의 위기
- 경기침체의 영향: 현재 많은 버티컬 e커머스 업체들이 경기침체와 투자 한파로 인해 존폐 기로에 서 있다.
- 적자 지속: 팬데믹 동안 확장한 업체들이 지속적인 적자를 겪고 있으며, 성장 한계에 도달한 상황이다.
- 업체들의 상황: 여러 업체들이 문을 닫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업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전문화 전략: 전문화를 내세운 업체들이 많지만, 투자 시장의 냉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집꾸미기 서비스 종료
- 서비스 종료 공지: 인테리어 플랫폼인 집꾸미기는 오는 31일 서비스 종료를 공지하였다.
- 설립 연도: 집꾸미기는 2014년에 설립된 인테리어 전문 온라인몰이다.
- 타겟 고객: 1인 가구를 타겟으로 하여 셀프인테리어 팁을 제공하며 인기를 끌었다.
- 매출 감소: 최근 3년간 경쟁에서 밀려 매출이 급감하였으며, 2021년 55억원에서 2023년 8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오늘의집의 재정 상황
- 버킷플레이스의 적자: 오늘의집을 운영하는 버킷플레이스도 비슷한 재정 상황에 처해 있다.
- 부채와 자산: 2023년 말 기준으로 부채가 9073억원에 달하며, 자산은 3604억원에 불과하다.
- 매출 증가: 매출은 2020년 759억원에서 2023년 2402억원으로 세 배 증가했지만, 적자 운영이 지속되고 있다.
- 경영 어려움: 매년 수백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으며, 재정적 어려움이 심각한 상황이다.

펫 전문 플랫폼의 적자
- 펫프렌즈의 영업손실: 펫프렌즈는 2023년 말 1030억원의 매출에 15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다.
- 다른 플랫폼의 적자: 어바웃펫과 핏펫도 각각 176억원과 168억원의 적자를 냈다.
- 성장세 둔화: 어바웃펫의 2023년 매출은 363억원, 핏펫은 23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0.3%**와 18.1% 급감하였다.
- 전문 플랫폼의 어려움: 펫 전문 플랫폼들이 적자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 전문몰의 경영 어려움
- 정육각의 영업손실: 정육각은 2023년 22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다.
- 누적 적자: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누적된 적자는 828억원에 이른다.
- 전문몰의 지속적 적자: 식품에 특화한 전문몰들이 적자 경영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 시장 경쟁: 이러한 경영 어려움은 경쟁 심화와 관련이 있다.

팬데믹 시기의 사업 확장
- 대규모 할인 행사: 팬데믹 시기에 급성장한 업체들은 대규모 할인 행사를 통해 사업 확장을 시도하였다.
- 적자 감수: 이러한 확장은 적자 경영을 감수하면서 이루어졌다.
- 투자 지원: 벤처캐피털(VC)과 사모펀드의 투자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 사업 확장의 한계: 그러나 이러한 전략이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지는 못하였다.

투자 시장의 냉각
- 투자 시장 변화: 2022년부터 투자 시장이 급격히 냉각되기 시작하였다.
- 업체들의 어려움: 이로 인해 많은 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기 시작하였다.
- 레드오션 진단: 업계에서는 버티컬 커머스 시장이 레드오션이 되었다고 진단하고 있다.
- 경쟁 심화: 쿠팡, 무신사, 컬리 등 종합 커머스 플랫폼이 이들의 상품을 취급하고 있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경쟁 심화와 시장 한계
- 시장 성장 한계: 버티컬 커머스 업체들이 경쟁하는 시장 자체가 작아 성장이 한계에 다다랐다.
- 투자 시장 냉각: 투자 시장의 냉각이 겹치면서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 업계 관계자의 의견: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러한 상황을 우려하고 있으며, 경쟁의 심화가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 업체들의 생존 문제: 결국, 많은 업체들이 생존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1.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이란?

정의: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Vertical Commerce Platform)은 특정 카테고리(제품군) 또는 타겟 고객층에 집중하여 운영되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종합 커머스(예: 쿠팡, G마켓)와는 달리, 버티컬 커머스는 하나의 분야에 특화되어 전문성과 고객 경험,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D2C(Direct to Consumer) 모델과 결합되는 경우가 많아 브랜드 직접 판매 채널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2. 버티컬 커머스의 특징

① 전문성 중심: 특정 카테고리(예: 뷰티, 스포츠, 반려동물 등)에 대한 전문적인 큐레이션과 콘텐츠 제공.

② 충성 고객 확보: 타깃 고객의 니즈에 최적화된 UX/UI, 추천 시스템, 커뮤니티 기반 기능으로 브랜드 충성도 증가.

③ 효율적인 마케팅: 시장이 좁고 타겟이 명확하여 정밀한 퍼포먼스 마케팅 및 CRM 전략 가능.

④ 데이터 기반 운영: 소비자 행동 패턴 및 상품 구매 데이터를 축적하여 재구매 유도 및 제품 개선에 활용.

3. 주요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사례

3-1. 무신사 (MUSINSA) – 패션 분야

카테고리: 스트릿패션 중심의 남성 의류 특화 플랫폼.

강점: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 중심의 큐레이션.

자체 브랜드(MUSINSA STANDARD)와 PB 운영.

커뮤니티 기반 콘텐츠(코디 추천, 리뷰 등)로 유저 락인.

성과: 2023년 기준 연매출 5,000억 원 돌파, Z세대 중심 패션 플랫폼으로 독보적 입지.

3-2. 오늘의집 – 인테리어/홈퍼니싱

카테고리: 인테리어, 가구, 홈데코.

강점:

커뮤니티 기능(사용자 공간 공유, 후기, 팁 공유).

콘텐츠 → 쇼핑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콘텐츠 커머스 구조.

성과: MAU 500만 명, 입점 브랜드 3,000개 이상 확보.

3-3. 펫프렌즈 – 반려동물 분야

카테고리: 반려동물 용품, 사료, 병원/미용 정보.

강점:

반려동물 맞춤 사료 추천 알고리즘.

수의사 콘텐츠, 반려생활 Q&A 등 정보 큐레이션.


성과: 2022년 기준 누적 투자 800억 원 이상, 반려동물 특화 커머스로 고성장.


3-4. 휘슬 (WHISTLE) – 여성 헬스&웰니스

카테고리: 여성 건강 보조제, 생리용품, 운동용품 등.

강점:

여성 중심 헬스 콘텐츠와 제품의 결합.

성분 기반 비교, 생리주기 추적 기능 등으로 건강관리 플랫폼화.


성과: 버티컬 진입 2년 만에 월 매출 10억 이상 달성.

4. 버티컬 커머스의 성공 요인

① 고객 공감 콘텐츠: 상품뿐만 아니라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중심으로 신뢰도 확보.

② 전문 커뮤니티 운영: 타깃 고객 간 정보 공유 및 소통 채널 확보로 고객 유입 → 체류 → 재구매 유도.

③ 공급망 효율화: 협력 브랜드와의 긴밀한 관계로 재고 회전율과 물류 효율성 확보.

④ 브랜딩 & 충성도: 대체 불가한 브랜드 가치와 정체성으로 팬덤 기반 매출 확대 유도.

5.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의  주요 키워드

버티컬커머스 플랫폼

카테고리 특화 이커머스

D2C 브랜드 성장 전략

콘텐츠 기반 쇼핑몰

고객 경험 중심 온라인 플랫폼

마이크로 타겟 마케팅

커뮤니티 기반 커머스

6. 버티컬 커머스의 한계와 도전 과제

① 시장 한계: 시장이 좁아 일정 규모 이상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② CAC 상승: 초기 고객 확보 이후 고객 획득 비용 증가(CAC) 문제.

③ 브랜드 포화: 동일 카테고리 내 경쟁이 심화되면 차별화 어려움 발생.

④ 유통 다각화 압박: 단일 플랫폼으로 성장에 한계 → 입점 확대 또는 글로벌 진출 필요.

7. 버티컬 커머스의 미래 전략

① AI 추천 기술 강화: 상품 추천 → 콘텐츠 추천 → 맞춤형 라이프스타일 제안으로 진화.

② 글로벌 시장 진출: K-콘텐츠, K-패션 기반으로 동남아/북미 진출 확대.

③ 구독 경제 모델 도입: 정기배송, 멤버십, 프리미엄 서비스 등으로 LTV(고객 생애 가치) 확대.

④ 옴니채널 전략: 온라인 기반에서 팝업스토어, 오프라인 체험관으로 확장

결론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은 특정 분야에 집중하여 깊이 있는 고객 경험과 높은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강력한 이커머스 전략입니다. 무신사, 오늘의집, 펫프렌즈 등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브랜드와 커뮤니티, 콘텐츠와 커머스의 융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향후에는 AI, 구독 모델, 글로벌 진출 등의 혁신적 시도를 통해 더욱 확장된 가치와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