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Money Market

(전망) 미국 경기 Peak Out 전망 고조 " 대형은행 경기전망 우려"

장고747 2025. 3. 11. 05:45
반응형

♧132번째 이야기

미국 경제 전망 종합 보고서 (2025년)

1. 개요

최근 월가의 대형은행들과 주요 경제 기관들은 미국 경제가 성장 정점(피크아웃)을 지나 둔화 국면에 진입하고 있으며, 경기침체 가능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은행 및 기관들의 경기 전망을 종합하여 미국 경제의 현재 상태와 향후 예상되는 변화를 분석하였다.


2. 주요 대형은행 경기 전망

JP모건체이스 (JPMorgan Chase)

  • 2025년 미국 경기침체 확률을 기존 30%에서 40%로 상향 조정.
  • 경기 침체 위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정책 불확실성재정 지출 축소를 지목.
  • 미국 내 투자 둔화와 소비 위축이 본격화될 가능성을 경고.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 2025년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1.7%로 대폭 하향 조정.
  • 12개월 내 경기침체 확률을 15%에서 20%로 상향.
  •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관세 인상 등)이 경기 둔화의 주요 위험 요인.

모건스탠리 (Morgan Stanley)

  • S&P 500 지수 5500선에서 지지 예상, 연말 목표 6500 유지.
  • 기업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
  • 경제 성장 둔화 속에서도 연준의 금리 정책이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

3. 미국 경제의 둔화 및 경기 침체 가능성

(1) 경기 침체 신호 증가

  • 경제학자 및 금융 시장에서는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이 상승하고 있다고 평가.
  • 폴리마켓(Polymarket)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미국 경기침체 확률이 23%에서 32%로 증가.
  • 주식시장 내 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 지수 16% 하락, 이는 약 45%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시사.

(2) 소비 및 기업 투자 둔화

  • 소비자 신뢰지수 하락 및 향후 소비 위축 징후 감지.
  • 기업들이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 및 자본 지출을 주저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 둔화 요인.

(3) 연준(Fed)의 대응 전망

  • 금리 인하 가능성은 있지만, 역사적으로 연착륙(soft landing)에 성공한 사례는 적음.
  • 인플레이션은 둔화(7.3% → 2.2%), 실업률은 완만한 상승.
  • 웰스파고(Wells Fargo)는 경기 연착륙 가능성을 42%, 경기 침체 가능성을 28%로 전망.

4. 주요 위험 요소 및 기회

(1) 경기 둔화 및 침체 리스크

  •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관세 인상 등).
  • 연준의 금리 정책이 예상과 다르게 진행될 경우 경제 충격 가능성.
  • 정부 지출 축소 및 기업 투자 감소로 경제 활동 둔화.

(2) 성장 기회

  •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경기 부양 효과를 줄 수 있음.
  • AI 및 신기술 산업의 성장이 경제 회복의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 인플레이션 안정으로 소비 심리가 회복될 가능성 존재.

5. 결론 및 전망

미국 경제는 성장 정점(피크아웃)을 지나며 둔화 국면에 접어들고 있으며, 대형은행과 경제 기관들은 경기 침체 가능성을 점진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연준의 금리 정책과 정부의 경제 대응 방향이 향후 경기 흐름을 결정할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며, 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는 국면에서 투자 및 소비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