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Culture Calumn

(지명의 유래) 은평구 동명 유래

장고747 2025. 2. 28. 10:34
반응형

은평구는 서울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1979년에 서대문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습니다. 현재 은평구는 11개의 법정동과 1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동의 지명 유래와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녹번동(碌磻洞)

지명 유래: '녹번'은 '푸른 돌'을 의미하며, 이 지역에 푸른 빛을 띠는 바위가 많아 붙여진 이름입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녹번리에 속했습니다.

2. 불광동(佛光洞)

지명 유래: '불광'은 '부처의 빛'을 의미하며, 이 지역에 사찰이 많아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불광리에 속했습니다.

3. 갈현동(葛峴洞)

지명 유래: 이 지역에 칡이 많아 '칡고개' 또는 '갈고개'라 불렸으며,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갈현'이 되었습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갈고개계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갈현리에 속했습니다.

4. 구산동(龜山洞)

지명 유래: 이 지역의 산세가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어 '구산'이라 불렸습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사계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구산리에 속했습니다.

5. 대조동(大棗洞)

지명 유래: 이 마을에 대추나무가 많아 '대조동'이라 불렸습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대조리에 속했습니다.

6. 응암동(鷹岩洞)

지명 유래: 마을 뒤 백련산 기슭에 매가 앉은 모습의 바위가 있어 '응암동'이라 불렸습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응암리에 속했습니다.

7. 역촌동(驛村洞)

지명 유래: 이 지역에 조선시대부터 '연서역'이 있어 '역말', '역촌'이라 불렸습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역계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역촌리에 속했습니다.

8. 신사동(新寺洞)

지명 유래: '신사'는 '새로운 절'을 의미하며, 이 지역에 새로운 사찰이 세워지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신사리에 속했습니다.

9. 증산동(繒山洞)

지명 유래: '증산'은 '비단 산'을 의미하며, 산의 모습이 비단처럼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역사적 배경: 1977년에 행정동으로 신설되었습니다.

10. 수색동(水色洞)

지명 유래: '수색'은 '물빛'을 의미하며, 이 지역의 물빛이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역사적 배경: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수색리에 속했습니다.

11. 진관동(津寬洞)

지명 유래: 동명은 진관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역사적 배경: 본래 구파발동, 진관내동, 진관외동이었으나 2007년 통합되었습니다.

각 동은 고유한 역사와 지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은 은평구의 풍부한 문화유산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