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Money Market

(미국증시)중동전쟁 긴장완화불구 FOMC 경기전망하향,물가우려 등 매파적 시각 견지속에 지수는 혼조세 마감

장고747 2025. 6. 19. 05:33
반응형

♧395번째 이야기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연준 금리 동결 속 혼조세 마감 ✨

2025년 6월 18일, 뉴욕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동결 발표와 함께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연준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고 물가 상승률을 높이는 다소 미지근한 전망을 내놓으면서, 시장은 기대와 불안감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 주요 지수 및 종목, 희비 엇갈린 하루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습니다.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44.14포인트(-0.10%) 하락한 40,2171.66에 마감하며 소폭 약세를 보였습니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역시 1.85포인트(-0.03%) 하락한 5,980.87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 반면, 나스닥 지수는 25.18포인트(0.13%) 상승한 19,546.27에 거래를 마치며 기술주의 강세를 반영했습니다.
개별 종목에서는 대형 기술주들의 움직임이 눈에 띄었습니다:
* 상승 주역: 마이크로소프트(0.4%), 엔비디아(0.9%), 애플(0.4%), 브로드컴(0.7%), 테슬라(1.8%), 넷플릭스(0.1%), 팔란티어(1.2%), ARM(0.9%) 등 주요 기술주 및 AI 반도체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
* 하락 종목: 아마존닷컴(-1.0%), 메타(-0.2%), 구글의 알파벳(-1.4%), AMD(-0.2%) 등 일부 종목은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 연준, 기준금리 4회 연속 동결! 경제 전망은 '흐림'
☁️

연방준비제도(Fed)는 시장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지난 1월, 3월, 5월에 이은 네 번째 연속 동결 결정입니다. ✋

* 물가 상승률 상향: 연준은 올해 연말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측치를 기존 2.7%에서 3.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경제 성장률 하향: 동시에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7%에서 1.4%로 하향 조정하며 경제 둔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러한 전망은 시장에 복합적인 메시지를 던져주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반영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연준의 금리 인하 횟수 전망치(올해 0.25%p씩 두 번 인하 가능)는 유지되었으나, 불확실성은 여전했습니다.

⚔️ 중동 정세, 여전히 긴장 고조… 트럼프 발언이 변수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무력 충돌은 6일째 이어지며 글로벌 증시에 지속적인 불안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이란은 결코 항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하며 미국의 전쟁 개입 시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경언했습니다.
하지만 장 막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란이 협상 의사를 밝혀왔다"고 전하며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에 대한 작은 기대감을 증대시켰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란이 "완전 무방비 상태"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이 향후 중동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

📉 미국 국채금리 소폭 하락 & 고용지표 안정세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소폭 하락하며 시장의 불안정성을 일부 반영했습니다.
* 10년물 국채금리: 0.008%포인트 하락한 4.383%
* 2년물 국채금리: 0.017%포인트 하락한 3.933%
한편,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4만 5000건으로 전주 대비 5000건 줄어들며 시장 전망치(24만 6000건)를 소폭 밑도는 안정적인 고용 지표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 시점을 9월로 예상하는 시장의 기대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국제유가 소폭 상승 & 파월 의장의 '관세' 우려

국제유가는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전 거래일 대비 0.14% 상승한 배럴당 73.37달러 수준에서 거래되며 소폭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미국 경기가 견조하다고 강조하면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장하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그는 "관세의 규모와 시기 등이 불확실하며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미국 증시는 연준의 금리 동결과 경제 전망, 그리고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라는 복합적인 요인 속에서 방향을 모색하는 하루였습니다. 투자자들은 다가올 경제 지표와 정책 결정, 그리고 중동 정세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