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Trend Story

(산업 )반도체 공정과 산업현안

장고747 2025. 2. 23. 12:08
반응형

반도체 제조는 세정(Cleaning), 산화(Oxidation),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에칭(Etching),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증착(Deposition), 금속 배선(Metallization), **평탄화(CMP: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의 8대 공정으로 구성됩니다. 각 공정의 상세 내용과 관련 기업, 그리고 반도체 산업의 현안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1. 세정 (Cleaning)

공정 내용: 웨이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결함을 최소화하고 공정 수율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관련 기업: Entegris, Merck, DuPont, Tokyo Electron 등은 첨단 세정 솔루션을 제공하는 주요 기업입니다.


2. 산화 (Oxidation)

공정 내용: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산화막(SiO₂)을 형성하여 절연층을 만드는 과정으로, 전자 소자의 누설 전류를 방지하고 전기적 특성을 개선합니다.

관련 기업: Applied Materials, Tokyo Electron 등이 산화 공정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3. 포토리소그래피 (Photolithography)

공정 내용: 빛을 이용하여 웨이퍼에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노광 공정을 통해 특정 영역만 선택적으로 노출하여 반도체 소자의 패턴을 정밀하게 형성합니다.

관련 기업: ASML은 EUV(극자외선) 노광 장비를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Nikon과 Canon은 DUV(Deep Ultraviolet) 장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4. 에칭 (Etching)

공정 내용: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여 원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웨이퍼 표면의 불필요한 부분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제거합니다.

관련 기업: Lam Research, Tokyo Electron, Applied Materials 등이 에칭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5. 이온 주입 (Ion Implantation)

공정 내용: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이온을 웨이퍼에 주입하는 과정으로, 특정 영역에 불순물을 삽입하여 전기적 성질을 변화시킵니다.

관련 기업: Applied Materials, Axcelis Technologies 등이 이온 주입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6. 증착 (Deposition)

공정 내용: 웨이퍼 표면에 박막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절연층, 도전층, 반도체층 등을 증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화학 기상 증착(CVD), 물리적 기상 증착(PVD), 원자층 증착(ALD)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관련 기업: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ASM International 등이 증착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7. 금속 배선 (Metallization)

공정 내용: 반도체 칩 내부에서 전자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이 사용됩니다.

관련 기업: Applied Materials, Tokyo Electron 등이 금속 배선 공정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8. 평탄화 (CMP: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공정 내용: 웨이퍼 표면을 평탄하게 만들어 다음 공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과정으로, 여러 층으로 구성된 반도체 회로에서 균일한 표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기업: Applied Materials, Entegris 등이 CMP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현안과 이슈

1.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중 기술 패권 경쟁으로 인해 반도체 공급망의 지역화와 자국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은 자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첨단 기술 개발 경쟁: AI, 자율주행, IoT 등 신기술의 발전으로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첨단 공정 기술 개발과 생산 능력 확대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3. 인력 및 인프라 부족: 반도체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비해 전문 인력과 생산 인프라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투자와 교육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4. 환경 및 규제 이슈: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에너지 소비와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친환경 공정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적극적인 투자와 정책 지원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