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Money Market

(미국증시) 지수 혼조,애매한 방향성 "3대지수 상승, 상승강도는 약해"

장고747 2025. 3. 22. 06:22
반응형

♧183번째 이야기

미국 증시 상승 마감
- 미국 뉴욕증시는 장 초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으로 인해 상승 탄력을 찾지 못하는 양상이었다.
-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에 상호주의 관세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였다.
-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의 영업이익률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급락세를 보였으나, 장 후반에는 테크주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어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하였다.
-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의 주요 지수 마감 결과: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32.03포인트 상승, 41,985.35 기록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4.67포인트 상승, 5,667.56 기록
  - 나스닥종합지수: 92.43포인트 상승, 17,784.05 기록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실적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AI) 메모리칩 판매 급증에 힘입어 호실적을 발표하였다.
- 2025 회계연도 2분기(12∼2월) 매출은 1년 전보다 38% 증가하였다.
- 고대역폭 메모리(HBM) 매출이 10억 달러를 돌파하였으며, 이는 우수한 제조력과 AI 수요 증가 덕분이라고 설명하였다.
- 그러나 이익률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주가는 8.04% 하락하였다.
  - 조정 기준 이익률: 37.9% (시장 예상: 38.4%)
  - 현 분기 예상 이익률: 36.5% (기대에 미치지 못함)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상호관세 부과 예정일인 내달 2일을 **'미국 해방의 날'**로 칭하였다.
- 그는 "수십 년간 우리는 우방·적국 불문하고 전 세계 모든 국가에게 속고 학대받았다."고 언급하였다.
-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관세 예외를 고려하냐는 질문에 대해 **"유연성이 있을 것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상호주의다."**라고 답하였다.
- 이는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조정할 여지를 두겠지만, 관세 부과에 대한 입장은 변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갈등
- 이스라엘은 지난 18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겨냥한 가자지구 공습을 재개하였다.
-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이스라엘군에게 가자지구 더 깊숙한 곳까지 진격할 것을 명령하였다.
- 그는 "하마스가 나머지 인질들을 모두 석방할 때까지 멈추지 않겠다."고 다짐하였다.
- 중동 정세는 악화일로에 있으며, 이로 인해 국제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국 히스로공항 정전 사태
- 영국 히스로공항은 변전소 화재로 인한 대규모 정전 사태로 전면 폐쇄되었다.
- 이로 인해 전세계 항공 교통에 혼란이 발생하였다.
- 항공여행 관련주들이 타격을 입었으며, 미국 대형 항공사인 유나이티드항공, 델타항공, 아메리칸항공 모두 2~3%대 하락세로 거래를 시작하였다.
- 이러한 사건은 항공사들의 운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국채금리 혼조세
-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 10년물: 0.017%포인트 상승, 4.250%
  - 2년물: 0.009%포인트 하락, 3.948%
- 이러한 금리 변동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나이키와 페덱스의 실적
- 나이키는 전 분기 주당순이익이 시장 기대치의 2배에 달하였으나, 주가는 5.46% 하락하였다.
- 이는 관세와 소비 위축으로 인해 현 분기 매출이 시장 기대에 미달할 것이라는 사측의 예상 때문이었다.
- 페덱스는 전 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으나, 경기 둔화와 불확실성으로 인해 연간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6.45% 급락하였다.
- 이러한 실적 발표는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
-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주는 영향력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였다.
- 그는 "다만 상대국의 보복 관세는 연준이 대응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미국 경제가 여전히 강력하다고 강조하며,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내려간다면 향후 12~18개월 내에 금리 인하 조치가 내려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CME Group)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준이 올해 상반기에 기준금리를 **25bp 이상 인하할 확률은 75.4%**로 증가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