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사는 증권맨

유쾌한 세상만사 잡사기

Trend Story

(유가) 70달러대 유지가능성 현대경제연구원 ,"60달러진입 어려워"

장고747 2025. 3. 6. 09:04
반응형


♣ 104번째 이야기

※최근 올렸던 60달러 전망기사와 배치되는
보고서가 있어 내용을 소개드립니다.

국제유가 전망 보고서 정리

(출처: 현대경제연구원, 2025.02.28)

1. 개요

최근 국제유가는 WTI, Brent, Dubai 등 3대 유종 모두 70달러대에서 횡보하며 명확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국제유가는 세계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한국과 같은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는 유가 예측이 더욱 중요하다.

2023년 이후 국제유가는 중동 전쟁, OPEC+ 감산 정책 등의 영향으로 단기 변동성을 보였지만, 추세적 변화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제유가의 수급 환경과 관련 금융시장 흐름을 분석한 후, 장기적 유가 방향성을 전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2. 국제유가 동향



📌 최근 국제유가 움직임

2022년까지 상승세를 지속한 국제유가는 2023년 이후 배럴당 70달러대 수준을 유지

물가를 반영한 실질 유가는 60달러대 수준

OPEC+ 감산, 미국의 러시아·이란 제재 강화 등으로 일시적으로 80~90달러대까지 상승한 적도 있으나, 단기 변동에 그침

유가 변동성(OVX 지수)도 과거 대비 안정적으로 유지됨


📌 국제유가의 저점과 고점 간 차이 축소

2020년: 저점 $17 → 고점 $57.7 (등락률 240.1%)

2022년: 저점 $76.7 → 고점 $108.3 (등락률 41.2%)

2024년: 저점 $69.6 → 고점 $84.4 (등락률 21.3%)
➡ 국제유가는 리스크 요인에 대한 반응이 둔화되며 변동성이 축소

3. 국제유가 수급 분석

📌 원유 수요 전망

세계 경제성장률은 2023년 이후 3.0~3.3% 수준에서 중성장 기조 유지

이에 따라 원유 수요 증가율도 1.0% 내외로 완만한 증가 예상

중국 경제 둔화로 원유 수요 회복이 지연

2023년: +7.0% → 2024년: +0.5% → 2025년: +1.5%

📌 원유 공급 전망

OPEC+ 감산 지속에도 미국 등 비OPEC+ 국가들의 생산 증가로 세계 원유 공급은 안정적 흐름 유지

2024년: OPEC 생산 감소 (-0.03%) vs. 비OPEC+ 생산 증가 → 전체 공급 소폭 증가 (+0.6%)

2025년: OPEC+ 감산 완화 & 미국 원유 생산 증가 → 공급 증가 예상 (+1.7%)

다만, 미국의 원유 시추기 수 감소와 OPEC+의 감산 정책 불확실성이 공급 확대를 제한할 가능성이 있음

📌 금융시장 영향

달러 강세 지속 → 국제유가 하방 압력

미 연준(Fed)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 유가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

투자심리 위축: 비상업 순매수 포지션(투기적 자금) 평균보다 낮은 수준 유지 (2억 2,400만 배럴)

4. 2025년 국제유가 전망

📌 2025년 국제유가 예상 범위

배럴당 70달러대 초반 유지 전망 (2024년과 비슷한 수준)

OPEC+ 감산 완화, 강달러 지속 등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 가능성

그러나 중국의 원유 수요 반등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변수

📌 주요 기관 전망

EIA: 2025년 평균 70.6달러 전망

국제 투자은행(IB) 평균: 70.9달러

Brent 유가: 74.0달러 수준

📌 상·하방 요인 분석

유가 상승 요인

미국 경제 호조, 중국의 경기 부양 효과

원유 재고 감소, OPEC+ 감산 연장 가능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중동 긴장 재고조

유가 하락 요인

OPEC+ 감산 완화, 미국 원유 생산 증가

미·중 갈등 심화 → 중국 원유 수요 둔화

강달러 지속 & 미국 금리 동결 가능성

5. 정책적 시사점

1️⃣ 유가 변동성 대응을 위한 정책 마련 필요

단기적 가격 하락에도 체감은 낮을 가능성 → 정책적 대응책 마련 필수

정부 차원에서 유가 리스크 대응 시나리오 준비 & 모니터링 강화

2️⃣ 중동 정세 불안,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대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란과 미국 간 갈등이 유가 급등 요인이 될 수 있음

수입처 다변화 & 전략 비축유 확대 등 대비 필요

국제 금융시장 리스크 관리 강화 (환율 급등락 가능성 대비)

3️⃣ 유가 변동에 강한 경제 구조로 개선

한국은 원유 수입 의존도가 세계 최고 수준 → 유가 변동에 취약

석유화학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필요

주력 에너지원을 다각화하여 유가 변동성에 대한 내성 강화

📌 결론: 2025년 국제유가는 70달러대 유지, 장기적 상승 가능성도 존재

✅ 국제유가는 2025년에도 70달러대 초반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음
✅ 강달러 지속 & 공급 증가로 하방 압력 존재, 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로 상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한국은 유가 변동에 대비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며, 에너지 다변화 및 비축유 전략 강화가 필수적

📌 핵심 키워드: 국제유가 전망, OPEC+ 감산, 미국 원유 생산, 중국 경제 둔화, 강달러, 중동 리스크, 70달러대 유지

➡ 2025년 국제유가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시장 변동성을 대비한 정책적 대응이 필수!

2887056041_V8mMW5bG_20250304050552.pdf
0.6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