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버린 예능, 넷플릭스에서 부활하다 – ‘홍김동전’에서 ‘도라이버’까지

한때 KBS의 기대작이었던 예능 *'홍김동전'*은 시청률 1%의 벽을 넘지 못하고 2023년 초 조용히 퇴장했다. 하지만 그 퇴장은 끝이 아니라, 넷플릭스에서 더 강력하게 부활하는 전초전이었으니… 바로 *'도라이버: 잃어버린 나사를 찾아서'*다.
1. KBS에서 쫓겨난 ‘홍김동전’, 하지만 팬들은 반대 트럭 시위를 벌였다?

*'홍김동전'*은 김숙, 홍진경, 조세호, 주우재, 장우영이 출연하며, 예능의 황금기였던 '구개념 버라이어티' 스타일을 재현한 프로그램이었다. 코너마다 ‘동전을 던져 운명을 결정하는’ 독특한 콘셉트로 진행되었고, 출연진들의 찰진 케미와 무한 리액션 덕에 마니아층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지상파의 냉혹한 현실. 방송사 입장에서는 1%대 시청률이 프로그램의 생명을 연장할 수 없는 수치였다. 결국 KBS는 프로그램 폐지를 결정, 이에 분노한 팬들은 트럭 시위까지 벌이며 프로그램의 연장을 요구했다. 하지만 방송사는 팬들의 호소를 외면했다.
그리고 몇 개월 후…
KBS에서 버려진 ‘홍김동전’은 넷플릭스에서 더 강력하게 부활했다.
2. ‘도라이버’ – 넷플릭스에서 돌아온 미친 예능
KBS에서 잘린 예능이 넷플릭스에서 부활할 확률은? **거의 0%**다. 하지만 *'도라이버'*는 기적을 만들어냈다. 넷플릭스가 *‘홍김동전’*의 제작진과 출연진을 그대로 불러 모아, 이름만 바꿔 완전히 새로운 예능으로 다시 태어나게 한 것이다.
제목부터 심상치 않다.
‘도라이버: 잃어버린 나사를 찾아서’

**"나사가 빠진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도라이버(Driver)’
이들이 "잃어버린 나사를 찾아가는 여정"
즉, 한층 더 **‘미친 예능’**을 예고하는 제목이다.
*'홍김동전'*이었던 프로그램이 넷플릭스로 이사 오며 더 강력한 설정과 자유로운 연출을 가지게 되었다.
KBS에서는 방송 심의, 광고주 눈치 보기, 시청률 압박 등으로 인해 시도할 수 없던 실험적 예능이었지만,
넷플릭스에서는 광고 부담 없이 제작할 수 있는 만큼, 한층 더 막 나가는 콘셉트를 도입했다.
3. KBS가 외면했던 예능, 넷플릭스에서는 대박?
출시와 동시에 넷플릭스 1위
*'도라이버'*는 공개 이틀 만에 넷플릭스 시리즈 부문 국내 1위를 차지했다.
즉, 방송사에서 실패한 예능이 OTT에서 성공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제 상황은 역전되었다.
KBS는 프로그램을 폐지한 것을 두고 **“우리가 큰 실수를 한 것 같다”**며 뒤늦은 후회를 하고 있고,
넷플릭스는 **“이래서 우리가 이길 수밖에 없다”**며 승리의 미소를 짓고 있다.
일부 팬들은 KBS를 향해 “지금이라도 다시 사야 하는 거 아니냐”는 농담을 던지기도 한다.
4. ‘도라이버’는 왜 성공했을까?
① 주 1회 공개, ‘TV 예능’ 방식 도입
넷플릭스가 기존의 ‘한 번에 몰아보기’ 대신 ‘매주 한 회 공개’ 전략을 선택했다.
이는 TV 예능과 비슷한 방식을 취해, 사람들이 한 회씩 아껴 보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도록 했다.
② KBS보다 더 자유로운 콘셉트
넷플릭스에서는 광고주나 방송 심의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므로,
KBS에서는 불가능했던 막 나가는 예능 포맷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다.
더 막장, 더 웃긴, 더 엉뚱한 콘텐츠가 가능해진 것이다.
③ OTT로 옮기며 글로벌 타겟팅 가능
KBS에서만 방송되었다면 국내 팬들만 시청했겠지만,
넷플릭스를 통해 국제적인 시청자들에게도 노출되면서
해외 팬들까지도 흥미를 갖게 되었다.
5. TV에서 사라진 예능, 넷플릭스가 살린다?
넷플릭스의 '도라이버' 성공은 OTT 플랫폼이 기존 TV 예능의 영역까지 가져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KBS가 홍김동전을 버리지 않았다면?
지금쯤 KBS의 대표 예능으로 자리 잡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이를 가져가면서, 방송사와 OTT의 힘이 역전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결론 – 도라이버, 예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도라이버'*는 단순한 부활이 아니다.
이는 방송사들이 외면한 예능이 OTT에서 재탄생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다.
앞으로도 지상파에서는 실패했지만, OTT에서 성공할 예능이 계속해서 나올 가능성이 크다.
"KBS가 놓친 보석, 넷플릭스가 빛을 보게 하다."
*'도라이버'*는 단순한 예능이 아니라, 예능의 미래를 바꿀 중요한 신호탄이 될지도 모른다.

■ '도라이버: 잃어버린 나사를 찾아서' 에피소드
'도라이버'는 KBS 예능 홍김동전의 제작진과 출연진이 다시 뭉쳐 만든 넷플릭스 예능으로, 상위 99% 코믹 인재들이 펼치는 '구개념' 캐릭터 버라이어티쇼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게임, 분장, 벌칙, 여행, 먹방 등 다양한 요소로 웃음을 선사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주요 에피소드 및 특징
가짜 이야기 웃음참기 챌린지 (2화)
멤버들이 터무니없는 거짓말로 서로를 웃기려는 미션. 예를 들어, "홍진경이 대선에 출마한다"는 설정이 큰 웃음을 자아냈습니다
분장과 벌칙의 향연
멤버들은 매회 독특한 분장과 벌칙을 통해 폭소를 유발합니다. 이는 과거 홍김동전의 전통을 이어받아 더욱 과감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구현되었습니다.
다양한 콘셉트와 설정
단순한 게임을 넘어선 독특한 콘셉트로 매주 새로운 재미를 제공합니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과 무맥락 토크가 프로그램의 핵심 매력입니다.
케미스트리와 팀워크
김숙, 홍진경, 조세호, 주우재, 장우영 등 멤버들의 환상적인 호흡이 돋보이며, 이들이 만들어내는 자연스러운 티격태격과 유머가 시청자들에게 큰 즐거움을 줍니다.
인기 요인
올드스쿨 감성: 단순히 웃음을 위한 콘텐츠로, 복잡하지 않은 재미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포맷: 분장쇼, 게임, 벌칙 등 기존 예능에서 보기 힘든 다양한 형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로벌 성공: 넷플릭스 공개 이후 대한민국 TOP10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팬층도 확보했습니다.
매주 일요일 새로운 에피소드가 공개되며, 4회차 단위로 특집이 전개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설정과 도전으로 차별화된 재미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Culture Ca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날영화) 사랑과 영혼(1990) "그시절의 애틋한 영혼을 넘는 사랑" (1) | 2025.03.08 |
---|---|
(지명의 유래) 마포구 이야기 (2) | 2025.03.05 |
(요즘영화) 리얼페인(2025) "키에란 컬킨,아카데미 남우조연상" (5) | 2025.03.03 |
(별별얘기) 삼겹살을 위한 변명 "다이어트 적?국민 최애 메뉴 자리잡아" (6) | 2025.03.03 |
(좋은책 읽기)불변의 법칙(모건하우절) "인간 본성과 삶의 핵심원리" (4)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