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92번째 이야기
2025년 4월 25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다음과 같이 마감했습니다:
-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5% 상승한 40,113.50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74% 상승한 5,525.21로 마감했습니다.
- 나스닥지수는 1.26% 급등한 17,382.94로 마감하며 기술주 중심의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주요 이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무역 파트너들과 관세 인하 협상을 3~4주 내에 마무리할 것”이라며 관세 정책의 완화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중국과의 협상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은 여전히 불확실하며, 중국은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우리에게 뭔가를 주지 않는 한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파누르 리버럼의 전략가 요아힘 클레멘트는 "현재 우리는 ‘관세의 답보 상태’에 있다"며, 트럼프와 그의 내각의 불확실한 발언에 휘둘리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가는 관세로 인한 최악의 불확실성은 지나갔다고 보고 있습니다.
소비자 신뢰도 및 경기 전망
미국 소비는 여전히 견조하지만, 관세와 원자재 비용 상승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우려가 있어 향후 소비 둔화가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질 수 있습니다.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52.2로 발표되었고, 이는 3월 대비 8.4포인트 급감한 수준입니다.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 기준으로 6.5%, 5년 기준으로 4.4%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주요 기업 동향
- 테슬라는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9.8% 급등했습니다.
- 엔비디아는 4.3% 상승했으며,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술주들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애플은 0.44% 상승했으며, 메타는 2.65% 상승했습니다.
이와 같은 증시 동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소비자 신뢰도 저하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술주와 규제 완화 기대감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