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8번째 이야기

# 3월 FOMC 회의 전망: 관세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분석

## 주요 요점 요약
- **물가 상황**: 2월 물가는 둔화되었으나 시장의 인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함
- **관세 영향**: 트럼프 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약 2년)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가능성
- **연준 전망**: 3월 FOMC에서 금리 동결 및 물가 전망 상향 예상, 점도표는 유지될 전망

## 현재 물가 상황 분석
최근 2월 물가 발표 이후에도 금리가 상승한 현상은 시장의 인하 기대 불충족과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물가 수준은 트럼프 1기 대비 이미 높은 상태이며, 특히 주목할 점은 재화 물가는 정상화되었으나 서비스 물가가 여전히 높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최근 6개월간 미국 PCE 물가의 전월비 평균 증가율은 0.22%이며, 최근 2개월은 0.3%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연준의 2025년 PCE 물가 전망인 2.5% 달성을 위해 필요한 0.2% 수준을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 관세 정책의 영향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몇 가지 주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단기 물가 압력**: 백악관과 여러 연구에서는 관세가 물가에 약 2년간의 단기적 영향만 있다고 평가하지만, 이는 미국 통화정책 1사이클과 거의 동일한 기간입니다.
2. **소비자 심리 영향**: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은 관세를 이유로 3개월 연속 급등했으며, 조사 응답자의 48%가 자발적으로 관세를 언급하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3. **총수요 위축**: 관세는 궁극적으로 총수요 위축을 가져오면서 경기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관세 정책에서도 이러한 패턴이 확인되었습니다.
## 3월 FOMC 회의 전망
3월 FOMC 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정이 예상됩니다:

- **기준금리**: 동결 예상
- **경제전망(SEP)**: 물가 전망치 상향 가능성
- **점도표**: 연내 2회 인하로 유지 전망 (최근 점도표 분포에서 다수가 중앙값에 몰려 있었기 때문)
연준의 차선책은 인하 기조를 잠시 멈추고 물가 압력을 지켜보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시장의 물가 경계심을 높이고 인하 기대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결론 및 시장 영향
연준은 관세 부과 초기 단계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물가에 대한 경계 수위를 높이고 시장의 인하 기대를 낮추는 데 초점을 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채권 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은 단기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향후 물가 데이터와 함께 관세 정책의 실제 구현 방식 및 그 영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준의 물가 전망 상향 조정과 인하 지연 가능성은 금리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Money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증시) 3월18일 마감시황 "자신이 없는 지수,전강후약,보합권" (11) | 2025.03.18 |
---|---|
(미국증시) 싸다는 인식 불안감 일시 제압, "저가매수세로 양대지수 반등세" (10) | 2025.03.18 |
(오늘의 증시) 3월17일 마감시황 " 삼성전자의 힘 , 반도체,금융 강세주도" (12) | 2025.03.17 |
(미국증시) 모처럼 강한 반등 "추세 하락방어 여부 지켜봐야" (12) | 2025.03.15 |
(오늘의 증시) 3월14일 마감시황 " 코스닥 모처럼반등,코스피 지지부진" (15) | 2025.03.14 |